오늘 소개할 영화는 최근에 개봉한 '콘크리트 유토피아'입니다. 이 영화의 간단한 정보와 후기 그리고 배우들 이야기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간단 정보
한국 사람들에게 가장 흔하고 편안한 장소가 '아파트'가 아닐까?라고 생각한다. 우리에게 안정감을 주면서 편리함을 제공하는 이곳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겠다. 대지진이라는 재난 이후 유일하게 무너지지 않은 곳이 있다. 바로 '황궁 아파트' 103동이다. 큰 지진이 서울을 뒤흔들고 순식간에 모든 건물이 주저앉아 폐허가 되어버린 이곳이지만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파트에서 생존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이다. 조금 더 자세하게 얘기를 나눠보도록 하겠다. 지진으로 갑작스럽게 생활 터전을 잃은 아파트 외부 생존자들은 '황궁 아파트' 소식을 듣고 이곳으로 모여들고 문을 두드리기 시작한다. 생존을 위해 서로 돕기도 하고 싸우기도 하는 외부 생존자들과 아파트 입주자들의 불편한 동거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서로에 대한 위화감은 커져갔다.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갈등과 이어지는 사건 사고들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칼부림까지 나게 된다. 그렇게 주민들은 외부인을 관리하기 위해서 회의를 한다. 난리 속에서도 의연한 태도와 남다른 결단력을 보여주던 '영탁'은 '부녀회장'의 추천으로 '임시 주민 대표'가 되었다. 그리고 그는 아파트를 위해서 외부인들을 내몰기로 결정한다. 지진이라는 대재앙 속에서 그들만의 유토피아를 만들기 위한 입주민들은 그들의 터전을 지켜낼 수 있을까? 어쩌면 뻔한 내용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고 말하고 싶다. 그렇다면 후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 후기
먼저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다른 재난 영화들에 비해 조금은 특별하다고 생각했던 이유를 말하겠다. 이 영화는 재난 상황을 담은 영화이지만, 재난 영화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게 무슨 소리인지 헷갈릴 수 있겠다. 예를 들면 영화 '부산행', '월드워 Z', '투머로우', '해운대' 등등 영화는 재난 상황 자체를 담은 영화이지만 이 영화는 재난 상황 자체가 아니라 재난이 일어난 후의 디스토피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 특별하다고 생각하며 이 영화를 추천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특히나 디스토피아를 배경으로 제작된 영화에서 나오는 뻔한 내용들이 나오지 않는다는 점과 재난 영화에서 나올 법한 신파 장면이 적다는 점이 이 영화의 재미를 더한다. 극한의 상황으로 내몰린 사람들의 이야기로 만들어질 수 있는 뻔하고 지루할 수 있는 내용들을 과감하게 삭제한 영화라고 정리하고 싶다. 또한 한국에서 살아간다면 너무나도 익숙한 아파트를 배경으로 하기에 친숙함이 이 영화의 몰입감을 올린다고 생각한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의 개봉 소식이 전해졌을 때부터 기대를 했는데, 그 이유는 이 영화의 감독인 엄태화가 2017년도에 '신인 감독상'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서 주연배우가 한국을 대표하는 배우인 이병헌, 박서준, 박보영이기에 더더욱 기대감을 높인다. 특히 이병헌 특유의 호흡과 유머는 극도로 경직된 분위기를 순식간에 바꾸는 데 아주 좋은 효과를 주어 지루함 없이 적당한 전환점을 준다.
배우들 이야기
이제 출연 배우들 이야기를 하겠다. 먼저 '연기력으로는 절대로 흠을 잡을 수 없는 배우'라는 타이틀을 가진 배우 이병헌은 이번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 '영탁'이라는 인물을 연기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이 영화에 대해서 이렇게 언급했다. "재난이 벌어진 상황 속에서 일반적인 사람들의 인간 군상을 그린 영화라서 그게 굉장히 재밌게 느껴졌다"라고 한다. 또한 '민성' 역할을 맡은 박서준 배우는 같은 인터뷰에서 "생존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두고 어떻게 살아가느냐가 굉장히 중점이 되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명화' 역할을 맡은 박보영 배우는 "이 상황에 나라면?"이라는 생각을 끊임없이 했다고 한다. 실제로 박보영 배우는 이 작품이 너무 하고 싶어서 감독님에게 직접 연락을 해서 출연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영화의 감독인 엄태화는 이 영화에 대해서 "오늘 저녁에 만약 이런 재난이 벌어진다면 어떻게 될까?", "대지진이라는 설정과 그 재난 안에서 아파트 한 채가 무너지지 않았다는 설정을 믿어질 법한 그림으로 만드는 게 중요했다"라고 밝혔다. 또한 "어려움이 많은 작업이었다"라고 덧붙였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영탁', '민성', 그의 아내 '명화', 부녀회장 '금애', '혜원', '도균'이 있다. 앞서 언급한 인터뷰에 대해서 조금 더 이어나가자면 배우들은 촬영 세트장의 스케일이 너무 압도적이라서 새로운 세계에 온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세트장을 완성하는 데 3~5개월 정도 걸렸다고 한다. 이에 더해 조금 더 현실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 CG팀이 2년 동안이나 고생했다고 한다. 기술적인 부분을 이렇게나 신경을 썼다고 하니 영화의 기대감이 더 높아졌다고 생각한다.